백석님의 시를 동화로 만든 책이다.
평안도사투리가 많아
언어이해가 어렵고
그림도 너무 무겁다.
아이들하고 공부하려니 힘들 것 같다.
그래도 풍경들은 나어릴 적과
세배드리러 가던 것과 똑 같아 정겹다.
시와 언어해설)
여우난골족族
― 백석
명절날 나는 엄매아배 따라 우리 집 개는 나를 따라 진할머니 진할아버지가 있는 큰집으로 가면
얼굴에 별자국이 솜솜 난 말수와 같이 눈도 껌벅거리는 하루에 베 한 필을 짠다는 벌 하나 건넛집엔 복숭아나무가 많은 신리(新里) 고무 고무의 딸 이녀(李女) 작은 이녀(李女)
열여섯에 사십(四十)이 넘은 홀아비의 후처가 된 포족족하니 성이 잘 나는 살빛이 매감탕 같은 입술과 젖꼭지는 더 까만 예수쟁이 마을 가까이 사는 토산(土山) 고무 고무의 딸 승녀(承女) 아들 승(承)동이
육십리(六十里)라고 해서 파랗게 보이는 산(山)을 넘어 있다는 해변에서 과부가 된 코끝이 빨간 언제나 흰옷이 정하든 말끝에 섧게 눈물을 짤 때가 많은 큰골 고무 고무의 딸 홍녀(洪女) 아들 홍(洪)동이 작은 홍(洪)동이
배나무 접을 잘하는 주정을 하면 토방돌을 뽑는 오리치를 잘 놓는 먼 섬에 반디젓 담그러 가기를 좋아하는 삼촌 삼촌 엄매 사춘 누이 사춘 동생들이 그득히들 할머니 할아버지가 있는 안간에들 모여서 방 안에서는 새옷의 내음새가 나고
또 인절미 송구떡 콩가루차떡의 내음새도 나고 끼때의 두부와 콩나물과 뽂운 잔디와 고사리와 도야지비계는 모두 선득선득하니 찬 것들이다
저녁술을 놓은 아이들은 외양간 섶 밭마당에 달린 배나무 동산에서 쥐잡이를 하고 숨굴막질을 하고 꼬리잡이를 하고 가마 타고 시집가는 놀음 말 타고 장가가는 놀음을 하고 이렇게 밤이 어둡도록 북적하니 논다
밤이 깊어 가는 집 안엔 엄매는 엄매들끼리 아르간에서들 웃고 이야기하고 아이들은 아이들끼리 웃간 한 방을 잡고 조아질하고 쌈방이 굴리고 바리깨돌림하고 호박떼기하고 제비손이구손이하고 이렇게 화디의 사기방등에 심지를 몇 번이나 돋구고 홍게닭이 몇 번이나 울어서 졸음이 오면 아릇목싸움 자리싸움을 하며 히드득거리다 잠이 든다 그래서는 문창에 텅납새의 그림자가 치는 아츰 시누이 동세들이 우적하니 흥성거리는 부엌으론 샛문 틈으로 장지문 틈으로 무이징게국을 끓이는 맛있는 내음새가 올라오도록 잔다
해설 펌 : [출처] 백석의 <여우난골족(族)>|작성자 이병렬
백석의 시 <여우난골족(族)>을 읽은 많은 독자들은 시 속 뜻 모를 어휘들에 난감해한다. 모두가 우리말임에도 잊혀진 단어 혹은 평북 방언들이기 때문이다. 제목부터가 그렇다. ‘여우난골족’은 ‘여우가 나오는(혹은 태어난) 골짜기의 가족 즉 일가붙이들’이란 뜻이다. 언뜻 들으면 영화 <늑대와 춤을>에 등장하는 주인공 ‘늑대와춤을 Dances With Wolves’, 풍부한 경험에 현명한 인디언 족장 ‘열마리 곰(Ten Bears)’, 인자하고 너그러운 ‘새 걷어차기(Kicking Bird)’, 용감한 청년 ‘머리에 부는 바람(Wind In His Hair)’ 그리고 인디언이 된 백인 여자 ‘주먹쥐고 일어서(Stands With A Fist)’처럼 아메리카 인디언들의 명명법과 유사하다.
우선 시의 이해를 위해 일반 독자들이 어려워하는 낱말부터 풀이한다.
※ 진할아버지 진할머니 : 친할아버지와 친할머니의 평안도 방언 (경상도에서는 아버지의 외가를 진외가라 하여 ‘진증조할머니’는 아버지의 외할머니를 가리킨다.)
※ 별자국이 솜솜 난: 천연두를 앓아 얼굴에 얽은 자국이 듬성듬성 있는
※ 말수와 같이 : 말을 할 때마다
※ 벌 : 벌판
※ 고무 : 고모
※ 포족족하니 : 푸른 빛이 도는, 푸르족족
※ 매감탕 : 엿을 고아 내거나 메주를 쑤어 낸 솥에 남은 진한 갈색의 물
※ 동이, 녀 : 평안북도 지방에서 아이들의 성씨 뒤에 동이나 녀를 붙여 부르는 애칭
※ 토방돌 : 마루 아래 토방에서 마루 위나 방으로 밟고 올라서기 위해 놓은 넓적한 돌
※ 오리치 : 평북 지역에서 야생 오리를 잡는 데 쓰는 둥그런 갈고리 모양의 올가미
※ 반디젓 : 밴댕이젓
※ 삼촌 엄매 : 숙모(삼촌의 엄마가 아니다)
※ 송구떡 : 송기떡의 평북 방언. 소나무 속껍질을 쌀가루와 섞어 만든 떡
※ 콩가루차떡 : 통가루로 버무린 찰떡
※ 끼때 : 끼니 때
※ 뽂운잔디 : 볶은 짠지
※ 도야지비게 : 돼지비계
※ 선득선득 : 서늘한 느낌이 드는 모양
※ 저녁술을 놓은 : 저녁밥을 먹은
※ 섶 : ‘옆’의 평북 방언
※ 쥐잡이 : 쥐불놀이
※ 숨굴막질 : 숨바꼭질
※ 아르간 : 아랫간, 온돌방에서 아궁이 쪽이 가까운 부분
※ 조아질 : 조개질, 공기놀이
※ 쌈방이 : 주사위
※ 바리깨돌림 : 놋쇠로 만든 밥그릇(주발)뚜껑돌리는 놀이
※ 호박떼기 : 편을 나누어 서로를 꼭 잡아 한 편이 다른 한 편을 떼어 놓는 놀이
※ 제비손이구손이 : 서로 마주 앉아 다리를 끼고 차례로 세며 박자를 맞추어 노는 놀이
※ 화디 : 등잔 걸이
※ 사기방등 : 사기로 만든 등잔불
※ 홍게닭 : 새벽닭, 토종닭
※ 문창 : 창문
※ 텅납새 : 처마끝, 추녀의 평안도사투리
※ 동세 : 동서(同棲)
※ 샛문 : 방과 방 사이에 있는 작은 문
※ 무이징게국 : 새우에 무를 썰어 넣어 끓인 국
낱말풀이를 참고하여 읽어보면 대략 시 속의 이야기를 이해할 수 있으리라. 판본마다 다르지만 내가 읽은 <여우난골족>은 전체 4연에 네 개의 문장이다. 그만큼 만연체의 긴 문장으로 이루어진 산문시이다. 그래서 읽을 때에는 쉼표를 넣어 끊어 읽기에 유의해야 한다. 둘째 연 첫 구절에 쉼표를 넣어 읽으면 이렇게 된다.
‘얼굴에 별자국이 솜솜 난, 말수와 같이 눈도 껌벅거리는, 하루에 베 한 필을 짠다는, 벌 하나 건넛집엔 복숭아나무가 많은 신리(新里) 고무, 고무의 딸 이녀(李女), 작은 이녀’ - 이를 현대어로 옮기면 ‘얼굴에 곰보자국이 듬성듬성 있는, 말을 할 때마다 눈도 껌벅거리는, 하루에 베 한 필을 짠다는, 벌판 건너 집에는 복숭아나무가 많다는 신리(新里)에 사는 고모, 고모의 두 딸 이녀와 작은 이녀’가 된다. 즉 신리에 사는 고모와 그 두 딸을 묘사한 부분이다.
다른 구절 역시 쉼표를 넣어 끊어 읽어 현대어로 풀어보면 이렇다. ‘배나무 접을 잘 붙이는, 술에 취하여 주정할 때에는 토방돌까지 뽑아버리는, 오리 올가미를 잘 놓는, 먼 섬에 밴댕이젓 담그러 가기를 좋아하는 삼촌과 숙모 그리고 사촌 누이와 사촌 동생들이’ - 산문으로 묘사를 하면서 쉼표를 넣지 않은데다가 어휘마저 낯설기에 독자들은 잘 이해를 하지 못하고 만다. 그러나 쉼표를 넣어 수식관계를 잘 살피면 인물 하나하나 구체적으로 묘사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렇게 찬찬히 그 뜻을 이해하고 읽다보면 눈앞에 명절을 맞아 모두 모인 대가족이 보인다. 즉 시 속 이야기는 화자가 아버지와 어머니를 따라 큰집, 즉 할아버지와 할머니가 사는 집에 가 하룻밤을 잔 후 아침까지의 이야기이다. 그 이야기 속에 고모들과 사촌들이 등장하고, 어른들은 어른들끼리, 아이들은 아이들끼리 밤이 깊도록 노는 장면이 보이고 이어 아침에 부엌에서 아침밥을 준비하는 모습과 함께 늦게까지 잠을 자는 아이들이 그려진다.
즉 이 시는 화자가 명절을 보내기 위해 부모님을 따라 큰집에 가서 하루밤을 지내는 이야기이다. 모두 열아홉 명(혹자는 ‘사촌들’을 더 많이 보아 스무 명이 넘는다고도 한다)의 가족이 모여 명절을 맞는 모습 - 요즘에는 상상하기가 힘들다. 그러나 실은 십 몇 년 전만 하더라도 농촌에서 명절이면 흔히 볼 수 있던 장면이다. 설이나 추석에 그렇게 교통이 혼잡함에도 고향으로 향하는 우리네 삶의 모습이 바로 그것이다. 여우가 나온다는 골짜기에 살고 있는 피붙이들은 시 속에 그려 놓았듯이 그렇게 모여 하루밤을 지낸다.
후처가 된 고모, 과부가 된 고모, 게다가 곰보 얼굴도 있고 술에 취하면 개망나니가 되는 사람도 있다. 그런데 그들은 모두 하나의 가족이다. 피붙이들이다. 생김새나 성격을 떠나 모두가 한 핏줄, 할아버지 할머니의 후손들이다. 그렇기에 명절이면 모여 정을 나누며 더욱 더 정을 키울 수 있지 않겠는가. 인물 하나하나의 특징과 삶의 역정은 물론 그 구성원들까지 모두 열거함으로써 화자의 가족사 그리고 혈연적 유대관계가 선명하게 드러난다. 그 안에 갈등이 보이지 않는다. 아침이면 ‘시누이 동세들이 우적하니 흥성거리는 부엌’이라고 하지 않았는가. 즉 시누이, 올케, 큰동서, 아랫동서가 모두 부엌에서 음식을 장만한다. 아낙들의 그런 수고로 아이들은 ‘샛문 틈으로 장지문 틈으로 무이징게국을 끓이는 맛있는 내음새가 올라’올 때까지 늦잠을 자고 있지 않은가. 이 얼마나 행복한 모습인가.
물론 시 속 화자는 성인이 되어 예전 어렸을 적 명절이면 찾아갔던 큰집을 회상하며 묘사한 것이다. 그러니 시 속 단어나 문장 이면에는 ‘화목한 가족 공동체적 삶에 대한 그리움’이 담겨 있다. 화자만 그런 것이 아니라 시를 읽고 있는, 21세기에 살고 있는 나 역시 그런 그리움에 잠시 사무친다. 핵가족 시대 - 모두 뿔뿔이 흩어져 살고 있는 요즘에 저런 삶을 그리워하는 사람들이 얼마나 될까. 형제자매도 성인이 되면 멀어지는 요즈음, 사촌간은 말할 것이 없다. 그러니 내외종간의 사촌들이 한데 어우러져 살고 있는 집안이 얼마나 될까.
시 속에는 화자의 고모 셋이 등장한다. 고모의 아들과 딸에게 화자는 외사촌이요, 화자에게 그들은 고종사촌이다. 이런 관계를 ‘내외종간’이라 하는데 요즘 이 말을 알아듣는 젊은이도 많지 않다. 그러나 시 속에는 내외종간의 만남이 지극히 자연스럽다. 명절이면 모여 방 하나를 차지하고 ‘조아질하고 쌈방이 굴리고 바리깨돌림하고 호박떼기하고 제비손이구손이하’면서 등잔 심지를 몇 번이나 올려야 할 정도로 새벽녘 닭이 울 때에야 ‘아랫목싸움 자리싸움을 하며 히드득거리다’ 한 방에 잠이 드는 아이들 - 바로 내외종간의 혈육들이다.
이런 가족관계가 그립지 않은가. 흔히 이 시를 가리켜 ‘친족 공동체의 명절 풍경을 상세하게 묘사함으로써 사라져가는 전통과 공동체의 정서를 구체적이고 감각적으로 재현해낸다’고 평을 한다. 그러나 시 속 어휘의 뜻을 알고 문장을 찬찬히 읽다보면 나도 모르게 화자가 살았던 그 시절 그 골짜기 집으로 가 모든 가족들과 함께 명절을 맞는 꿈을 꾸게 된다.
마침 설 연휴이다. 그리운 가족들 - 다들 어떻게 살고 있는지. 명절이면 더욱 그리운 게 가족이 아니겠는가. ♣
[출처] 백석의 <여우난골족(族)>|작성자 이병렬
'∑령의시인바람♬ > [♡] 령이읽은 책'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시집읽기-김순찬[칡넝쿨의 숙명] (0) | 2020.02.09 |
---|---|
책읽기-백창우 글 곡 한병호 그림[달궁달궁] (0) | 2020.02.04 |
책읽기-[국악만화] (0) | 2020.02.03 |
빌린책-7 (0) | 2020.02.03 |
책읽기-남동윤만화[귀신 선생님과 진짜 아이들] (0) | 2020.01.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