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령의정보담기/[♡] 공부하기

지역사회복지론 내용요약

by 정령시인 2008. 8. 13.

地域社會福祉論

Community Practice


1. 지역사회와 지역사회이론에 대한 이해

지역사회의 기능과 제도 ; Gilbert & Specht

생산·분배·소비의 기능 ; 경제제도

일상생활을 영위하는 데 필요로 하는 재화와 서비스를 생산, 분배, 소비하는 과정

사회화의 기능 ; 가족제도

사회가 향유하고 있는 전반적인 지식, 사회적 가치, 행동양태를 전달시키는 과정

사회통제의 기능 ; 정치제도

지역사회가 그 구성원들에게 사회의 규범에 순응하게 하는 것

사회통합의 기능 ; 종교제도

사회참여의 기능. 특정제도의 구성원이나 전 사회체계의 구성원들은 상호간에 충성해야 하며, 사회체계는 정상적인 기능을 하기 위해서 어느 정도의 결속력과 사기를 가져야 함

상부상조의 기능 ; 사회복지제도

사회구성원들의 주요 사회제도로 자기들의 욕구를 충족할 수 없는 경우 필요로 하는 사회적 기능

지역사회 기능의 비교척도 ; Warren

지역적 자치성

서비스 영역의 일치성

지역에 대한 주민들의 심리적 동일시

수평적 유지

지역사회(community)란 ; 일반적으로 두 가지의 속성을 포함한다. 첫째, 다른 지역과는 다른 특수성과 분리성을 나타내는 물리적 지리성 및 지역적인 경계를 가지며, 둘째, 사회적 혹은 문화적인 동질성, 합의성, 자조성, 혹은 다른 형태의 집단행위와 상호작용을 가진다.

즉  Community는 지리적인 지역사회(geographic community)와 기능적인 지역사회(functional community)로 구분될 수 있다. 기능적인 지역사회란 이념, 취미, 학연, 지연, 종교 등 공동의 관심과 기능을 함께 하는 사람들의 집단을 말하며, 지리적인 지역사회는 한 지역을 구성하는 사람들과 조직들의 지리적 분포라는 관점을 강조하는 경우로 Park와 Burgess가 제시한 “모든 지역사회는 사회지만, 모든 사회가 지역사회는 아니다”라는 말로 대신할 수 있겠다.

지역, 지리를 중심으로 하는 지역사회

각종 구성원들의 모임, 즉 의식과 뜻을 함께 하는 지역사회(공동체)

각종 기관, 시설, 단체를 하나의 지역사회로 구분하는 방법

21세기 새로운 community로 부상되고 있는 가상공동체(virtual community).

지역사회 유형화의 기준 ;

인구의 크기

경제적 기반

정부의 행정구역

인구구성의 사회적 특수성

지역사회의 사회체계론적 관점

지역사회체계 내의 다양한 사회제도들을 관련시키는 방식이다.

좋은 지역사회는 지역사회주민의 이익을 위하여 하위체계들이 효과적으로 작동하는 상태를 말한다.

지역사회를 하나의 행위자로 보는 관점이다.

지역사회는 지위, 역할, 집단, 제도들로 이루어진 하나의 체계로서 파악될 수 있다.

수평적 관점과 수직적 관점 ;

수평적 관점 ; 지역사회의 하위체계들이 지역사회 내에 상호 작용하는 방식이며

수직적 관점 ; 지역사회 외부에서 하위체계들이 다른 외부체계와 상호 작용하는 방식이다.

지역사회의 기능주의 관점 ; 지역사회는 하위체계의 상호작용으로 구성되는데, 각 하위체계들은 상호관련성이 있다 하더라도 하나의 분리된 실체를 이루고 있어 각각이 경계를 가지고 있다. 기능주의 이론에서는 사회가 여러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고, 각 부분은 합의된 가치와 규범에 따라 변화하며, 균형 또는 안정을 추구함을 강조한다. 그렇기 때문에 지역사회의 변화나 지역사회에서의 지원, 권력을 둘러싼 하위체계들 간 갈등을 설명하는 데 다소 취약하다.

기능주의 관점에서 본 지역사회의 기능

생산·분배·소비의 기능

사회화의 기능

사회통제의 기능

사회통합의 기능

상부상조의 기능

지역사회의 갈등주의적 관점 ; 지역사회에 존재하는 갈등 현상에 주목하며, 지역사회내의 구성원들이 경제적 자원, 권력, 권위 등이 불평등한 배분관계 때문에 갈등이 발생하고, 이러한 갈등관계를 통해 지역사회의 변동을 초래한다고 본다.

갈등의 역할 ;

경제적, 권위, 문화적 가치 및 신념 등을 통해 갈등이 발생한다.

특정 쟁점에서 일반 쟁점으로 변화될 수 있고, 갈등의 지속을 통해 새로운 쟁점이 형성될 수 있다.

갈등은 지역사회조직간의 변동을 유발한다.

특정 쟁점에 대한 반대에서부터 반대자에 대한 직접적인 적대감으로 비화되는 경향이 있다.

영향력 있는 지도자들 및 조직들은 갈등에 많은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지역사회의 생태학적 이론 ; 환경과의 적합성, 상호교류, 적응을 지지하거나 방해하는 요소를 중요하게 생각하며, 생태환경을 좀 더 체계적으로 구조화하고 이들 환경체계와 개인의 발달 간의 관계를 이해하고자 한다.

지역사회에 관한 이론 ;

지역사회 상실이론 ; 과거 전통사회의 공동체에 대한 향수를 바탕으로, 지역사회 공동체는 이상적인 것으로서 현실에서 복구될 수 없으므로 사회복지제도가 개입되어야 한다는 이론

지역사회 보존이론 ; 지역사회 상실이론에 대한 반론으로, 지역사회 내에서의 공동체 기능은 아직 존재하며 복지국가의 제도적 역할을 축소시키고 가족이나 지역사회가 가지고 있는 상호부조기능의 수행을 강조하는 이론

지역사회 개방이론 ; 상실이론, 보존이론의 대안으로 등장했으며 지역성에 기초한 개념에서 탈피, 사회적 지지망의 관점에서 비공식적 연계를 강조하고, 지역성에 기초한 개념과 공통의 이해에 기초한 개념을 결합시킨 이론


2. 지역사회복지와 지역사회복지실천에 대한 이해

지역사회복지의 특징 ;

지역성과 기능성을 포함하는 일정한 지역 내에서 이루어진다.

지역주민의 삶의 질 향상이라는 목표를 가지고 있다.

지역사회의 문제를 해결하고 주민의 복지욕구를 충족시키는 기능이 있다.

정무와 민간의 협력이 강화되는 추세로 발전하고 있다.

전문적인 서비스와 방법을 사용한다.

지역사회복지의 목표

주민들과의 협력 도모

이슈를 결정하는 힘을 증가시키는 것

민주원칙의 향상·발전

사회정의의 실현

경제발전 추진

합의 촉진

대인적 사회봉사 지원

현대 시민권을 행사할 수 있도록 교육

지역사회복지의 구성체계 ;

주체(기관) ; 가족, 교회, 민간, 정부 등 많은 사회기관

객체(대상) ; 지역주민의 공통된 욕구 또는 결핍된 욕구, 지역사회의 사회문제

방법 ; 중간집단의 설립 ⇨ 사실조사 ⇨ 계획수립 ⇨ 교육 및 선전 ⇨ 자원동원, 참여 ⇨ 결정

재원(자원) ; 조세, 이용료, 민간모금, 인적자원

지역사회복지계획의 원칙 ;

지역의 개별화 존중 원칙

이용자 주체의 원칙

네트워크화의 원칙

공·사 협동의 원칙

주민참가의 원칙


3. 지역사회복지실천의 역사에 대한 이해

자선조직협회운동(COS ; Charity Organization Society) ;

1869년 영국에서 설립된 후 1877년 거틴 목사에 의해 미국에 설립됨

자선이 중복되는 것을 예방하며, 민간단체들의 업무를 조정할 목적으로 창설, 직접적인 구호와 서비스를 제공하기도 함.

빈자를 가치 있는 빈민(deserve poor)과 가치 없는 빈민(undeserve poor)으로 구분함. 사회진화론의 영향

자선기관들과 협력적인 계획 모색 및 기관설립, 기관 개혁 등의 활동 전개

사회진화론 ; 환경에 잘 적응하는 자는 생존, 그렇지 못한 자는 도태되는 것이 자연의 법칙이라는 원칙. 개인이 사회적으로 실패하는 것은 타고난 열등성에 기인하므로 그들에게 도움을 주는 것은 자연법을 범하는 일이라고 주장함.

민속적인 부락협동관행 형태 ;

계 ; 상호간에 공통된 이해관계를 가진 2인 이상이 상호부조의 정신에 입각하여 사회, 경제, 산업, 교육 및 일반 생화의 이익을 도모하기 위하여 구성한 일종의 민간 협동조직

두레 ; 소규모의 부락 단위공동체로 주로 농경작업을 공동으로 추진하기 위한 민속적이며 자율적인 지역사회공동체

향약 ; 지역사회의 발전과 지역주민들의 순화, 덕화, 교화를 목적으로 한 지식인들 간의 자치적인 협동조직

품앗이 ; 노동력을 서로 차용 또는 교환하는 가장 대표적인 노동협력의 형태

고려시대의 진휼사업 ;

은면지제 ; 적당한 시기에 왕이 베푸는 은전

재면지제 ; 천재지변, 질병 등으로 인한 이재민 등의 조세, 부역, 형별 등을 감면하는 제도

환과고독 ; 홀아비, 과부, 고아, 노인 등 우선적으로 보호를 받아야 할 대상에 대한 구호

수한질여진대지제 ; 이제궁민에게 물품과 의료, 주택 등을 급여하는 사업

납속보관지제 ; 국가재정 부족 시 보충의 목적으로 급품을 납입한 자에게 관직을 제공하는 제도

조선시대의 구빈사업 ;

비황제도 ; 삼창을 위시한 창제 제도

구황제도 ; 사궁에 대한 보호, 노인보호사업, 시식, 진휼 및 진대사업, 견감 등

의료사업 ; 불교의 영향, 대비원 제위보 및 혜민국의 설치

일제시대의 사회복지 시설과 사업 ;

사회복지시설 ; 육아시설, 임산부상담소, 탕아시설, 영아건강상담소, 빈궁아 교육기관, 불량아 감화시설, 맹아아 보호시설, 육아협회 등

인보관 ; 중일전쟁 시작 이후, 인보 상부상조와 국민 자각 향상의 목적으로 설치

미군정 시대(1945~1948)의 사회복지 ;

빈민의 인격을 존중하는 민주주의와 자본주의를 채택

요구호자에 대한 구호의 필요성에 대응하기보다는 요구호자들로 인해 야기되는 정치적 불안에 대응하여 전개

구호의 범위와 수준이 열악하고 경제적인 어려움 때문에 자선적이며 사후대책적 성격이 강함

아동노동법규 제정

국가단위의 상설복지기구 ;

의창 ; 평시에 곡식을 저장하였다가 흉년에 빈민을 구제하던 국립 구호기관(무상구제라는 면에서 오늘날 기초생활보호법과 기본 성격이 같다고 봄)

상평창 ; 고려·조선시대의 물가조절기관, 빈민에 대해 곡물 대여와 상환의무가 있었다. 이점에서 의창보다는 발전적인 제도

진휼청 ; 의창이나 상평창과 같이 흉년에 빈민을 구제하는 국가기관이며, 조선왕조에 들어와 상평창에 진휼보다는 이곡에 치중하게 되면서 생겨난 제도


4. 지역사회복지의 실천모델에 대한 이해

지역사회조직의 목적 ; Well & Gamble

삶의 질 향상

옹호

인간 사회와 경제의 개발

서비스 및 프로그램 계획

서비스 통합

정치·사회적 행동화

사회정의 지향

지역사회조직의 목표 ; Dunham

과업중심의 목표 ; 지역사회 특정욕구를 충족시키거나 특정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취하는 구체적인 과업의 완수에 역점을 두는 것

과정중심의 목표 ; 지역사회 주민들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능력을 갖도록 해주는 것

관계중심의 목표 ; 지역사회 구성요소간의 사회관계에 있어 변화를 시도하는데 역점

지역사회조직사업의 목표 ; Rothman

과업중심의 목표 ; 구체적인 사업을 완성하거나, 지역사회의 기능과 관련한 문제를 해결하는데 관심을 두는 것

과정중심의 목표 ;

지역사회에 있는 여러 집단간의 협동적인 관계를 수립한다.

지역사회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자치적인 구조를 창조한다.

지역사회문제를 해결하는 데 필요한 역량기반을 향상시킨다.

지역사회 주민들로 하여금 지역사회의 일에 대해 관심을 갖고 참여하도록 자극한다.

로스만 모델 ;

지역사회개발(모델A) ; 지역사회의 활동능력과 통합 ; 자조(과정목표)

사회계획(모델B) ; 지역사회문제의 해결(과업목표)

사회행동(모델C) ; 권력관계와 자원의 변화, 기본적인 제도 변화(과업 및 과정목표)

로스만의 모델별 서비스 수급자 개념 ;

지역사회개발 모델 ; 시민(citizens)

사회계획 모델 ; 소비자(consumers)

사회행동 모델 ; 희생자(victims)

로스만의 모델별 사회복지사의 역할 ;

지역사회개발 모델 ; 조력자, 격려자, 안내자, 전문가, 사회치료자.

안내자로서의 역할 ; 지역사회 문화에 대한 충분한 지식 습득, 지역사회 조건에 대한 객관적 입장(objectivity) 유지, 지역사회와 동일시(identification), 자기역할을 수용, 자기 역할에 대한 설명(interpretation).

전문가로서의 역할 ; 지역사회진단(community diagnosis), 조사기술(research skill), 타 지역사회에 대한 정보, 방법에 관한 조언, 기술상의 정보(technical information), 평가(envaluation).

사회치료자의 역할은 주민들의 문제에 대한 성격을 이해함으로써 긴장을 해소하게 하여 협력적인 작업을 방해하는 요인을 제거하도록 돕는다.

조력자로서의 역할 ; 불만을 집약하는 일. 조직화를 격려하는 일. 좋은 인간관계를 육성하는 일. 공동목표를 강조하는 일.

사회계획 모델 ; 전문가, 계획가

Sanders의 전문가로서의 역할 ; 분석가, 계획가, 조직가, 행정가

Sanders의 계획가로서의 역할 ; 물리적이고 물질적인 면보다 인간적인 면 중시, 목표설정, 목표 달성을 위한 수단 검토, 계획에 관한 행정에서 어느 정도로 중앙집권적·분권적 결정을 의존할 것인지 판단.

Sanders의 분석가로서의 역할 ; 사회문제와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에 관한 조사, 사회변화를 위한 프로그램 과정 분석, 계회 수립의 과정 분석, 유도된 변화에 대한 평가.

Sanders의 행정가로서의 역할 ; 계획에서 설정한 목표의 효율적·효과적 달성을 위하여 인적·물적 자원을 적절히 관리. 계획이 추진되는 것 자체보다는 계획을 수행하기 위해 마련된 프로그램이나 기관의 운영에 주로 관심을 갖는다.

계획가의 자원 ; Morris & Binstock.

돈과 신용, 개인적 열정, 전문성, 인기, 사회적·정치적 기반, 정보의 통제, 적법성

사회행동 모델 ; 옹호자, 행동가,

Grosser가 제시한 사회행동모델에서의 사회복지사의 역할 ; Grosser는 사회행동모델에 대한 설명을 하는 이론가 중에서도 가장 급진적인 성격을 가지고 있다. 그는 주민이 자원과 서비스의 불공평을 시정하도록 합력을 가하기 위해 주민의 조직화와 전술교육이 중요하다고 했으며, 이러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사회복지사는 조력자, 중개자, 대변자, 행동가의 역할을 담당한다고 보았다.

조력자 역할 ; 간접적 개입과 중립적 입장을 통해 주민이 주도적 역할을 할 수 있도록 돕는다.

중개자 역할 ; 적절한 시기에 직접적인 개입을 시도한다.

대변자 역할 ; 정보수집·주민들 입장의 정당성 주장을 한다.

행동가 역할 ; 갈등적인 상황에서 CT의 행동을 조직한다.

지역사회복지실천모델의 특징 ;

시대적 상황 및 개별국가의 경험을 반영하여 다양한 유형으로 분류되고 있다.

사회경제적 배경이나 이데올로기와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

지역사회복지실천모델의 세분화 경향을 띠고 있다.

지역사회복지실천모델은 사회복지실천 전문화 영향과 관련이 있다.

지역사회복지실천의 효과적인 실행을 위해 사회복지사의 역할이 매우 중요하다.

사회행동의 전략 ;

지역사회조직이 대상 집단을 이기기 위한 힘의 원천 ; 정보력, 대상 집단에 대한 힘의 행사, 피해를 입힐 수 있는 잠재력, 약점을 이용한 수치심 자극, 동원능력

전개되는 사회행동의 합법성이나 정당성을 획득하기 위한 표현과 전술 ; 자체 조직원이나 상대 조직에게도 수용될 수 있는 전략을 선택해야 함

다른 조직과의 연계 여부 ; 협조, 연합, 동맹의 방식을 사용하여 협력을 유도함

사회행동집단이 의존할 전술 ; 압력전술, 법적 전술, 시위활동 등

의미 있는 승리를 위한 협상의 선택 ; 성공적인 협상을 위한 준비로서 갈등의 범위를 결정해야 한다.

정치적 압력과 항의 ;

항의 ; 은행, 핵발전소, 백화점, 고용주 등 거의 모든 대상을 목표로 할 수 있으며 어떤 문제에 대해서 관심을 환기시키고 사회행동조직의 힘과 결속력을 과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정치적 압력 ; 그 대상이 정부에 국한되며, 정부의 정책형성과정의 모든 단계에 이루어질 수 있다.

정치인들에게 압력을 가하는 전술 ;

선출된 관리들의 입지, 즉 이미지에 관심을 보일 것

요구가 실천되는 것을 확인할 것

정치적 구조와 과정을 이해할 것

선출된 관리들이 당면한 제약을 인식할 것

적과 싸우기보다는 친구와 함께 할 것

전문직원과 사무실을 활용할 것

자료와 함께 정보를 제공할 것

편지쓰기 켐페인을 전개할 것

공청회 참석에 따른 예의를 배울 것

법적 행동과 사회적 대결

법적 행동

사회적 대결

극적인 면이 없고, 제한된 수의 사람이 참여함

참여자의 행동은 냉정하고 심각함

지역사회행동조직이 취할 수 있는 법적 행동 ; 금지명령요구, 고소

극적인 대결, 많은 수의 사람이 참여함

이슈의 심각성에도 불구하고 다소 유머러스하게 진행될 수 있음

대규모 집회나 성토대회에서부터 피케팅에 이르기까지 형태가 다양함

실천을 보장하지 못한다는 것과 폭력의 위험성이 있다는 단점이 있음


항의전술 ; Saul Allnsky

전술은 주민조직 내부의 지지를 받아야 한다.

대결전술은 주민조직이 가지고 있는 힘을 과시할 수 있도록 사용해야 한다.

제도와 싸우면 안 된다.

상대방이 실수할 때까지 인내한다.

상대방의 대응을 예상한다.

너무 오래 끄는 전술은 사용하지 않도록 한다.

협상기술 ; Pruitt

협상에 시한을 두어야 한다.

요구하는 입장을 확고히 해야 한다.

언제 어떻게 양보해야 할지를 배워야 한다.

상대방의 제안을 신중하게 대응해야 한다.

협상이 계속 진행되도록 한다.

중재자 개입 여부를 고려해야 한다.


5. 지역복지실천 분야에 대한 이해

농촌지역사회복지의 문제점 ;

전문인력 부족

서비스의 중복과 제공의 지리적 제약

기관 간 협력 미약

자원동원과 활용의 미약

서비스에 대한 취약한 접근성

재가복지서비스의 내용 ; 가사서비스, 간병서비스, 정서적 서비스, 결연서비스, 의료서비스, 자립지원 서비스, 주민교육 서비스, 기타 사회복지관 내 시설을 활용한 서비스


6. 지역사회복지실천의 원칙과 과정

지역사회복지실천의 문제해결과정 ; Dunham

문제의 인식 ⇨ 문제의 분석 ⇨ 계획 ⇨ 조치 ⇨ 평가 ⇨ 다음단계

지역사회복지실천 과정 ;

문제발견 및 분석 ⇨ 정책 및 프로그램 개발 ⇨ 프로그램 실천 ⇨ 평가

문제해결모델(problem-solving model)에서는

문제 인식과 변화 욕구 확립 ⇨ 정보 수집 ⇨ 사정과 변화 전략 수립 ⇨ 개입과 변화 노력 ⇨ 평가와 종결

지역사회 사정(community assessment) ;

 ‘지역사회가 어떠한 문제와 욕구가 있는가?’, ‘그것을 해결할 역량은 얼마나 되는가?’

1) 지역사회사정의 개념 ; 사회복지사가 지역사회에 대한 전문적 개입을 하기 위해 지역사회의 욕구와 자원을 파악하는 과정으로, 여기에는 문제의 성격, 관계 당사자들의 문제 극복 역량, 유관기관과 제도, 가용 또는 소요 자원, 문제 해결에 대한 지역사회 주민들의 의지 등이 조사 대상으로 포함된다.

2) 지역사회사정의 유형 ;

(1) 종합사정(comprehensive assessment) ; 전체 지역사회를 포괄하며 새로운 자료의 생산으로 이어지는 경우

(2) 탐색사정(familiarization assessment) ; 기존 자료를 바탕으로 지역사회의 개괄을 이해하기 위한 초보적 수준의 사정을 말한다.

(3) 문제 지향적 사정(problem-oriented assessment) ; 사정의 범위는 지역사회 전체이지만, 초점은 단일 문제(가령 청소년 일탈)에 맞추어 진다.

(4) 하위체계 사정(sub-system assessment) ; 지역사회의 특정 구성요소나 측면을 사정의 대상으로 삼는다. 이를테면, 지역사회의 경제부문을 사정 대상으로 삼거나 교육 부문 또는 종교부문을 사정하는 경우가 여기에 속한다.

(5) 자원사정(resource assessment) ; 지역의 자원을 중심으로 하는 사정으로 다음의 네 분야의 자원에 대한 사정을 해야 한다. 즉, 힘, 전문적 기술, 자금 그리고 서비스

(6) 협조적 사정(collaborative assessment) ; 재부분의 지역사정이 전문가 집단들에 의해서 이루어지는 사정이지만 지역주민들 단독으로 그리고 지역주민들과 서비스 제공자들과 공동으로 이루어지는 경우도 존재한다.

3) 지역사회사정의 주요 원칙 ;

(1) 목적을 명확하게 밝혀야 한다.

(2) 구체적인 쟁점에 초점을 맞춘다.

(3) 다양한 관점을 인정한다.

(4) 지역주민의 참여를 중시한다.

4) 지역사회사정의 절차 ; 욕구 파악(needs identification)과 자원 파악(resource identification)으로 나뉜다.

(1) 욕구 파악

욕구의 종류 ;

규범적 욕구(normative needs) ; 전문가나 기존 자료에서 제시한 목표 기준에 바탕을 둔 욕구로 이 기준에 미달하면 욕구가 존재한다고 본다. 규범적 욕구는 계량화가 쉽기 때문에 욕구의 객관성을 확보하는 데는 유리하나 욕구의 상대성이 잘 드러나지 않는다는 지적이 있다.

인지적 욕구(perceived needs≓felt needs) ; 누군가의 의견이나 관찰에 바탕을 둔 욕구 개념으로 구체적인 자료를 통해 입증된 것이 아니다. 객관적 기중을 찾기가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표출적 욕구(expressed needs) ; 인지적 욕구가 구체적인 행동으로 표현된 것. 여기서 욕구란 요구하는 사람들의 숫자에 의해 결정된다. 표출적 욕구는 사회복지서비스 분야에서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욕구의 기준이 된다.

상대적 욕구(relative needs≓비교욕구,comparative needs) ; 제공되는 서비스의 집단 간 차이가 바로 상대적 욕구를 가리킨다. 욕구 불평등.


자료 수집 ;

가) 개인으로부터 정보를 얻기 위한 방법

비공식적 인터뷰(informal conversational interviews) ; 지역관찰의 과정에서 일어날 수 있는 계획되지 않은 그리고 기대하지 않은 인터뷰하는 사람과 응답자 간의 비공식적 대화형태의 인터뷰.

공식적 인터뷰(formal conversational interviews) ; 응답자가 풍부하고 자세한 설명을 할 수 있도록 열린 형태의 질문(open-ended questions)들로 구성되어 있으며, 질문자 또는 조사자는 인터뷰 동안에 제시할 질문에 대한 일반적 윤곽을 포함하는 interview guide를 사용해서 인터뷰를 하게 된다. 질문자는 신뢰도와 일관성을 유지하기 위하여 일반적으로 표준화된 interview instruments를 사용한다.

인터뷰 대상자 선별방법

인원할당(quota) ; 주로 서로 다른 인종의 사람들을 인터뷰할 때 사용되는 기법, 비율에 따라 대상선정

snow ball ; 일단 조사자가 지역문제에 대해 특정한 지식을 가지고 있는 집단이나 전문가 집단의 성원들을 먼저 인터뷰 한 다음 그들에게 다음 인터뷰 할 사람들을 추천 받아서 인터뷰하는 방식.

민족 또는 민속학적(ethnographic) 조사접근방법 ; 응답자들이 그들의 문제를 어떻게 해석하고 묘사하는지를 알 수 있는 방법으로, 일반적으로 조사자의 관찰과 심층인터뷰(in-depth interview)가 함께 사용된다.


나) 집단으로부터 정보를 얻기 위한 방법

기존 자료 ; 흔히 이차자료(secondary data)라고도 한다. 가장 많이 활용되는 것이 인구학적 특성이나 사회경제적 자료를 축약한 사회지표(social indicators)이다.

초점집단(focus group) ; 질적인 자료를 수집할 때 사용하는 방법으로 6~10명 정도의 소집단으로 구성된다. 초점집단은 여러 명이 동시에 질의와 응답에 참여할 수 있고 참가자들 사이에 상호 작용이 이루어지므로 집중적인 토론에 매우 유용한 방법이다. 초점집단의 목적은 기본적으로 토론이며, 갈등 해소, 의사 결정, 문제 해결 등의 구체적 과제를 위해 구성된 집단은 초점집단으로 볼 수 없다.

지역포럼(community forum) ; 특정한 시간과 장소에 지역주민들이 초대되어 그들이 가지고 있는 지역문제들에 대한 자신들의 견해를 밝히는 것.

공청회 ; 초점집단과 마찬가지로 지역사회 구성원으로부터 정보를 직접 수집할 수 있는 방법이다. 그러나 공청회는 초점집단과 달리 공개된 장소와 시간에 참가자의 제한을 두지 않고 이루어진다. 공청회는 초점집단에 비해 훨씬 소란스럽고 관리가 어려운 것이 사실이나, 지역사회 구성원들의 다양한 소리를 들을 수 있다는 장점을 갖는다.

대화(또는 대담 dialogue) ; Meenahan에 의하면 두 개의 접근방법이 있다.

집합적 능력모델(the collective capacity model) ; 목적은 지역주민들 간의 연결점을 만드는 것이고 그리고 주민들에게 계획으로의 개입을 유지하도록 하는 것에 있다. 따라서 실천가들에게 협조적으로 일하는 환경을 만드는 것이 계획의 성공적인 수행보다도 더 중요하게 된다. 지역문제에 대한 공통의 인식을 가질 수 있도록 확인하는 것을 강조, 행동들을 강조. 결정은 주민들 간의 동의를 바탕으로 이루어진다. 단 많은 시간이 소요되며, 행동보다 대화를 강조하다 보면 사람들이 문제해결에 개입하기가 어려울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당원모델(the partisan model) ; 사람과 집단들은 서로 상이한 관심과 힘(power)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실천가의 중요한 역할은 집단들이 공통적으로 가지고 있는 것과 가지고 있지 않은 것을 이해할 수 있도록 돕는데 있다.

명목집단(nominal group) 기법 ; 지역에 영향을 미치는 문제에 대한 공유된 이해를 형성 또는 조장하기 위해 사용되는 기법이며 또한 행도계획을 개발하고 목적을 밝히기 위해 사용되기도 한다. 실천가들은 먼저 지역주민들을 한자리에 모이게 한 후 지역주민들에게 지역에 영향을 미치는 문제나 이슈 등에 관한 목록을 만들어 줄 것을 요청한다. 그리고 개개인들이 작성한 목록화 된 문제들을 주민들이 각각 큰소리로 읽도록 한 후 실천가 또는 지목된 서기는 칠판에 그것들을 다 받아 적는다. 여러 사람에 의해서 중복된 문제는 한 번만 받아 적으며 실천가는 제기된 문제들이 가지고 있는 공통적인 문제의 본질이나 주제에 대해서 해석을 할 수 있다. 일단 목록이 칠판에 다 만들어지면 집단의 대표자들은 토론할 시간을 갖게 되고 토론을 진행하면서 제기된 문제들에 대하 대표들은 좀 더 깊고 폭넓은 이해를 할 수 있게 된다. 이 방법은 주로 집단성원들에게 가장 중요한 문제를 확인하기 위해 주로 사용되는 기법이다.

Delphi 기법 ; 우편이나 컴퓨터 E-mail을 통해서 수행되어질 수 있는 기법으로서 전문적인 지식을 가지고 있는 주요 정보제공자들을 활용하는 방법이다. 조사자은 일단 지역에서 관심이 일고 있는 조사할 이슈에 대해 관련된 전문지식을 갖고 있을 주요 정보제공자를 위원단으로 구성한 다음 이들에게 열린 형태의 질문(open-ended questions)들로 구성되어 있는 조사지를 발송한다. 주요정보제공자들은 주어진 이슈에 대한 그들의 관점에 대해 심층적인 대답(in-depth answer)을 보내줄 것을 요청받게 된다. 회수된 정보를 종합하고 간략화한 후 수정을 위해 다시 위원단 성원들에게 보낸다. 수정을 거친 후 돌아온 정보를 조사자는 다시 간략하게 정리한 후 다시 위원들에게 보내는 과정을 위원단 성원들이 내용에 대해 동의할 때까지 반복한다.

면접 ; 직접면접과 전화면접이 있는데 둘 다 비용과 시간이 많이 든다. 특히 전화면접이 낮 시간에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직장에 근무하는 사람들의 의견이 배제된 가능성에 대해 유의해야 한다. 반면에 면접은 매우 심층적인 정보를 가져다 줄 수 있다.

참여 관찰 ; 지역주민의 일상적인 삶에 참여함으로써 그들이 겪는 문제를 직접 체험하는 방법이다.


다) 양적 접근방법(quantitative methods)

구조화된 조사(structured survey) ; 조사 참여자가 질문지에 있는 대답의 목록에서 자신이 원하는 대답을 선택하는 방식으로 질문지가 구조화 되어 있다. 표본을 선정하는 데는 비확률적 표본(non-probability sampling)과 확률표본추출방식이 있으며, 확률표본추출방식으로는 무작위 표본추출(random sampling)과 체계적 표본추출 그리고 집단표본추출(cluster sampling) 등이 있다.

무작위표본추출 ; 모집단에서 무작위로 표본을 추출하는 방식

체계적 표본추출 ; 목록에서 매 n번째 사람을 선택하는 방식

집단표본추출 ; 조사에서 대표성을 높이기 위해 무작위로 이미 존재하는 집단들을 선별해서 뽑은 다음 그 집단들 안에 있는 성원들을 무작위로 선택해서 표본을 추출하는 방식

프로그램 조사하기(program monitoring) ; 지역기관들이나 사회복지조직들이 가지고 있는 기록들은 지역에 관한 많은 정보를 제공해 주기도 한다. 이미 운영되고 있는 기관이나 시설들로부터 이미 확보된 자료를 분석하는 것은 욕구를 평가하는데 있어 빠르고 간편한 방법일 수 있다.

사회지표분석(social indicator analysis) ; 조사자가 정부기관 또는 민간 건강이나 사회서비스 분야의 조직에 의해서 집계된 자료에 의존하는 조사를 말한다. 비교적 명료한 주제나 쟁점에 관하여 지역주민들의 견해와 태도를 알고 싶을 때 주로 사용한다. 상대적으로 적은 비용을 가지고 지역주민 전체의 의견을 파악할 수 있고, 또한 이것을 계량화할 수 있다는 점이 최대의 특징이다. 그러나 정보의 내용이 깊이가 없고 시간이 많이 걸린다는 단점도 있다.


(2) 자원파악 ;

지역사회의 자원(resources or asserts)은 지역사회의 삶을 개선하는 데 쓰일 수 있는 모든 것을 의미하며, 보통 세 종류의 대상에 초점을 맞춘다. 첫째는 사람이다. 인적자원에는 자원으로 여기기 어려운 이른바 취약집단(노인, 장애인, 빈민, 노숙자 등)도 해당된다. 둘째는 비공식적 지역사회조직이다. 종교, 문화, 체육, 취미 모임 등이 이에 속한다. 셋째는 학교, 병원, 경찰, 사회복지기관 등의 공식기관들이다.

자원 지도의 작성 ; 수집한 지역 자원의 목록을 지도에 표시하는 것이 자원 파악의 최종 절차이다. 파악된 자원의 내용은 실제 지도에 직접 기입하거나 컴퓨터를 이용한다.

개입 가설의 수립

1) 문제 원인에 대한 가설의 수립 ; 지역사회사정을 통해 수집된 자료와 정보를 바탕으로 문제의 원인에 대한 가설을 세우는 작업이다.

2) 기초적 개입 가설의 수립 ; 가설을 세울 때는 다음 두 가지 질문을 염두에 두어야 한다.

어떤 종류의 개입이 문제 해결에 가장 큰 효과를 낼 것인가?

이와 같은 개입으로부터 어떠한 결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인가?

관계 당사자 파악 ;

1) 문제 제기자 체계(initiator system) ;

누가 처음으로 문제를 인식하고 거기에 관심을 기울였던가?

문제를 제기한 사람들이 문제 해결 과정에 참여할 수 있는 방법은 무엇인가?

2) 변화 주도자 체계(change agent system) ; 변화 주도자 체계에 문제 제기자 체계를 대표할 수 있는 사람들(즉, 문제 경험자·피해자 그리고 문제 해결 과정에 참여했던 경험자들)이 포함되면 다음과 같은 일에 도움을 줄 수 있다. 문제 경험자·피해자와의 신뢰 관계 형성, 쟁점과 문제의 진단, 문제 경험자·피해자에게 변화의 필요를 확신시킴, 변화가 일어나도록 직접 실천함.

3) CT 체계(client system) ; 실천가들에게 지역사회개입을 요청하고 그 개입의 결과로 혜택을 받게 되는 모든 사람들로 이루어진다.

4) 지지 체계(support system) ; 문제 해결에 관심을 지닌 모든 사람들을 아우르는 개념.

5) 표적 체계(target system) ; 변화의 대상이 되는 개인, 집단, 제도, 구조, 정책 등을 포괄하는 개념으로 표적 집단과는 구분되어야 한다. 즉 편화에 걸림돌이 되는 일체를 의미한다.

6) 행동 체계(action system) ; 지역사회의 변화를 이루기 위해 함께 행동하기로 동의하고 결심한 무든 사람을 포괄한다.

변화 가능성 분석 ;

변화에 대한 일반적 개방성(general openness to change)

변화에 대한 열의

소요 자원의 가용성

변화 비용

변화에 대한 외부 저항

변화 방법의 선택 ; 어떠한 방법을 써야 의도하는 변화를 가장 효과적으로 이끌어 낼 수 있는가를 따져보는 단계이다. 개입방식은 크게 직접서비스 제공, 옹호, 직접 행동의 세 가지로 나눌 수 있다. 문제 자체를 다루어야 한다면, 직접서비스 제공이나 옹호 방식이 유리하다. 반면에 문제의 근본 원인을 다룬다면, 직접 행동이 효과적이다.

목적과 목표의 수립 ; 목적(goal)과 목표(objective)는 욕구 사정을 바탕으로 도출된다. 목적은 기대 결과를 간략하게 또는 추상적으로 요약한 것이다. 그것은 보통 한 문장 정도로 짧게 표현된다. 목표는 목적을 세부적으로 설명한 것이다.

1) 목적 수립 ; 목적은 기대 결과나 바라는 미래에 대한 일반적 기술이라고 요약할 수 있다. 목적은 욕구 사정의 결과와 직결되어 있다. 따라서 지역사회개입을 통해 무엇이 이루어지기를 바라는지에 관한 가치 판단이 들어 있다. 그것은 꼭 관측과 측정이 가능해야 하는 것은 아니다. 목적은 단순히 기대와 희망의 표현이다.

2) 목표 수립

(1) 좋은 목표의 특성

구체적인 내용을 담아야 한다(specific).

측정이 가능해야 한다(measurable).

성취할 수 있는 것이어야 한다(achievable).

목표에 적합한 것이어야 한다(relevant).

시간적 틀이 분명해야 한다(timed).

도전적이어야 한다(challenging).

(2) 목표의 종류 ;

행태적 목표(behavioral objectives) ; 사람들의 행태와 그 행태의 산물을 바꾸는 것에 역점을 둔다.

결과 목표(outcome objectives) ; 구체적인 결과를 얻는 것에 초점을 맞춘다.

과정 목표(process objectives) ; 다른 목표를 이루는 데 필요한 토대를  제공한다. 즉, 과정목표는 무슨 일을 누가 어떻게 할 것인지에 관해 기술한다.

(3) 목표의 구성 ;

시간적 틀(time frame) ; 결과가 성취되는 특정 시기(연, 월, 일)을 가리킨다.

표적 ; 목표이 대상이 되는 사람이나 사물을 의미한다.

결과 ; 모든 활동이 종결된 후에 얻어질 결과를 의미한다.

목표의 성취 여부를 판단하는 기준 ; 일반적으로 결과 목표의 성취 여부는 양적인 기준에 의해 가려지고, 과정 목표인 경우는 질적인 기준에 의해 가려진다.

3) 실행 계획 수립 ; 실행 계획은 모든 과제와 책임 주체 그리고 시간표를 명확하게 담고 있어야 한다. 실행 계획의 수립을 위해서는 계획 집단(planning group)을 소집하는 것이 좋다. 계획 집단은 가급적 표적 인구 집단의 특성이 잘 반영되도록 구성할 필요가 있다. 완성된 실행 계획은 모든 구성원에게 나누어 주어 각자의 소임이 무엇인지를 분명히 알게 해야 한다.

전술의 선택

1) 전략의 종류 ; Warren

협력(≓제휴,collaboration) ; 집단이 연합행동을 하는 것에 동의 할 때 사용. 지역개발 실천모델과 연관

싸움 또는 교란(contest or disruption) ; 정책을 수용하도록 결정가에게 압력을 가할 때 사용 또는 반재집단에 의해서 지지되는 행동을 취할 때 사용. 사회행동모델과 연관.

캠페인(campaign) ; 상대편을 협상테이블로 나오도록 설득하는데 사용. 사회계획모델과 지역개발모델 그리고 사회행동모델들 모두와 연관

2) 전략 선택의 기준

목표

수혜집단

자원

윤리

지역으로의 개입을 위한 전략과 전술

실천모델

지역개발모델

사회행동모델

사회계획모델

전략

제휴전략

대상/켐페인 전략

문제해결을 위한 제휴, 대항/켐페인 전략

전술

능력 건설

합의 건설

교육

연합계획/행동

편지쓰기

설득

청원

문제해결

자기역량강화

교섭

보이콧

시민불복종

대항

시위

직접적 행동

단식투쟁

매체이용

편지쓰기

강제

동원

협상

로비

청원

피켓팅

정치캠페인

대중교육

연좌농성

파업

노동조합조직

자료 분석

사실 모으기

로비

협상

계획하는 과정으로 시민의 참여를 증진시키기

계획을 지지하기 위해 적절한 제휴, 대항이나 켐페인

행동체계(변화를 이루기 위해 행동하는 주체)

지역 주민 ; 주요 지역 조직들의 대표

지지자 ; 억압받은 집단의 성원들

지지자 ; 수혜자 ; 계획을 진행하고 있는 기관, 협조적 파트너

목표물 체계(변화가 일어나야 하는 대상)

파트너, 조력자

억압하는 시설이나 조직의 대표자 ; 정부정책 결정가, 기업책임자, 사회·정치·경제적 엘리트집단의 구성원

역기능적인 지역, 역기능적인 사회 그리고 경제체계 ; 체계를 변화시키는데 있어 영향을 받게 되는 결정가.

시행과 평가

1) 평가의 기준 ;

관계 당사자를 참여시킨다.

프로그램을 기술한다.

평가 계획의 초점을 정한다.

믿을 만한 증거를 수집한다.

결론을 정당화한다.

평가 결과가 널리 활용될 수 있도록 노력한다.

2) 평가의 단계 ;

평가 설계

준비

feedback

사후지원(follow-up)

전파(dissemination)

3) 좋은 평가의 기준 ;

효용성(utility) ; 평가가 얼마나 유용한 것인가를 따지는 기준이다.

타당성(feasibility) 평가 절차나 내용이 정치적으로나 비용의 측면에서 충분히 실용적인 것인가에 관한 기준

윤리적 정당성(propriety) ; 평가 절차나 내용이 윤리적으로 문제가 없는가를 판별하는 기준

정확성(accuracy) ; 평가 결과가 정확한 것인가를 따지는 기준


7. 지역사회복지실천에서의 사회복지사의 역할과 실천기술

지역사회복지실천 모델에 따른 사회복지사의 역할

추진하고자 하는 사업의 목적과 형태에 따라 역할과 내용이 달라진다.

사업유형에 따라 역할은 다르다.

각 유형간의 역할은 강조하는 바가 다를 뿐, 배타적·독립적 성격으로 규정할 수 없다.

사회복지사의 역할은 눈에 잘 띄지 않으며 동시에 여러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4. 지역사회복지의 실천모델에 대한 이해와 중복됨

지역사회개발모델

사회계획모델

사회행동모델

Ross

Lippitt

Morris &

Binstock

Sanders

Grosser

Grossman

안내자

조력자

전문가

치료자

촉매자

전문가

실천가

조사자

계획가

분석가

계획가

조직가

행정가

조력자

중개자

옹호자

행동가

행동조직가

Murray G. Ross의 지역사회개발모델에서의 사회복지사의 역할 ; 조력자(enabler), 안내자(guide), 전문가(expert), 사회치료자(therapist).

안내자로서의 역할 ;

일차적인 역할(primary role) ; 지역사회로 하여금 문제해결에 따른 목표를 설정하고, 이를 해결하는 방도를 강구하도록 도와주는 것.

조도능력(initiative) ; 도움을 청하지 않은 지역사회에 접근하는 데 있어서 뿐 아니라 문제해결과정에서 여러 가지 면에 주도권을 발휘해야 한다. 즉 현상에 만족하고 변화를 원치 않으며, 변화의 가능성에 대해 저항하기도 한다. 이러한 상황에서 사회사업가는 도움을 주거나, 긴박감을 자극하고, 현존하는 문제가 주는 ‘고통’(pain)을 일깨워 주고 보다 이익이 될 수 있는 대안들을 제시하는 데 있어서 주도적인 역량을 발휘해야 한다.

객관적인 입장(objectivity) ; 사회사업가는 지역사회에 현존하는 무지, 고루한 관습이나 전통, 갈등이나 적대감, 모순 된 행위 등을 으레 존재할 수 있는 것으로 받아들여야 하는 것이다. 한마디로 사회사업가는 지역사회를 ‘있는 그대로’(as it is)로 수용해야 하는 것이다.

지역사회와의 동일시(identification) ; 사회사업가는 언제나 지역사회 전체와 함께 해야 하며, 지역사회 내의 일부나 특정집단과 함께 일해서는 안 된다.

자기 역할의 수용 ; 사회사업가는 가지의 행동을 자제할 수 있어야 하고, 자기가 맡은 바를 원만하게 수행할 수 있는 능력을 길러야 하며, 그렇지 못할 때에는 자기의 임무를 계속해서는 안 되는 것이다.

자기 역할에 대한 설명(interpretation) ; 자기의 역할이 지역사회에 이해되도록 설명해 주어야 한다.

전문가로서의 역할 ; 지역사회진단(community diagnosis), 조사기술(research skill), 타 지역사회에 대한 정보, 방법에 관한 조언, 기술상의 정보(technical information), 평가(eval!uation).

사회치료자의 역할은 주민들의 문제에 대한 성격을 이해함으로써 긴장을 해소하게 하여 협력적인 작업을 방해하는 요인을 제거하도록 돕는다.

조력자로서의 역할 ; 불만을 집약하는 일. 조직화를 격려하는 일. 좋은 인간관계를 육성하는 일. 공동목표를 강조하는 일.

사회계획 모델 ; Sanders의 전문가, Morris & Binstock의 계획가

Sanders의 전문가로서의 역할 ; 분석가(analyst), 계획가(planner), 조직가(organizer), 행정가(program administrator)

계획가로서의 역할 ; 물리적이고 물질적인 면보다 인간적인 면 중시, 목표설정, 목표 달성을 위한 수단 검토, 계획에 관한 행정에서 어느 정도로 중앙집권적·분권적 결정을 의존할 것인지 판단.

분석가로서의 역할 ; 사회문제와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에 관한 조사, 사회변화를 위한 프로그램 과정 분석, 계획 수립의 과정 분석, 유도된 변화에 대한 평가.

행정가로서의 역할 ; 계획에서 설정한 목표의 효율적·효과적 달성을 위하여 인적·물적 자원을 적절히 관리. 계획이 추진되는 것 자체보다는 계획을 수행하기 위해 마련된 프로그램이나 기관의 운영에 주로 관심을 갖는다.

조직가로서의 역할 ; 주민들의 참여의식을 소취시켜 지역사회가 수립된 계획을 ‘제도화’(institutionalize)하여 스스로 추진해 나갈 수 있게 사기와 능력을 북돋아 주어야 한다.

Morris & Binstock의 계획가로서의 역할 ;

지배세력집단에게 영향력을 행사하기 위한 ‘길’(pathways)

책무(obligation)

친분관계(friendship)

합리적인 설득(rational persuasion)

의사를 사게 하는 것(selling)

압력(coercion)

유인(inducement)

계획가의 자원 ;

돈과 신용(money and credit)

개인적 열정(personal energy)

전문성(professional expertise)

인기(popularity)

사회적·정치적 기반(standing)

정보의 통제(control of information)

적법성(legitimacy and legality)

사회행동 모델 ; 옹호자, 행동가,

Grosser가 제시한 사회복지사의 역할 ; Grosser는 사회행동모델에 대한 설명을 하는 이론가 중에서도 가장 급진적인 성격을 가지고 있다. 그는 사회사업가의 주된 역할이 “지역사회의 자원분배 메커니즘을 변경하여 지역사회의 불우계층의 이익을 증대시키는 것이 도시영세지역주민이나 기타 어려운 처지에 놓여 있는 CT 집단(disadvantaged population)의 복지를 위해 일하는 것”이라고 하였다. 또한 사회사업가는 서비스의 수혜자(recipients)의 입장보다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관(providers)의 입장에 서서 일하는 경향이 있음을 비판하고, 진정으로 불우계층의 복지를 증진시키기 위해서는 CT의 편에 서서 활동을 전개하는 것이 사회사업가의 역할이어야 한다는 견해를 피력하고 있다. 이러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사회복지사는 조력자(enabler), 중개자(brokers), 옹호자(advocate), 행동가(activist)의 역할을 담당한다고 보았다.

조력자 역할 ; 간접적 개입과 중립적 입장을 통해 주민이 주도적 역할을 할 수 있도록 돕는다.

중개자 역할 ; 적절한 시기에 직접적인 개입을 시도한다.

대변자 역할 ; 정보수집·주민들 입장의 정당성 주장을 한다.

행동가 역할 ; 갈등적인 상황에서 CT의 행동을 조직한다.

Grossman이 제시한 조직가의 역할


8. 지역사회복지실천의 추진체계와 자원 환경 Ⅰ

(지역복지실천의 환경, 지방자치정부와 사회복지사무소, 각종 지역사회복지관, 사회복지협의회)

사회복지 패러다임의 변화 ;

복지다원주의(welfare pluralism) ; 복지 제공의 네 주체(국가, 시장, 자원봉사 부문, 비공식 부문) 가운데 국가의 역할을 줄이고 다른 주체의 비중을 늘리자는 주장. 脫中央化(decentralization)와 참여 그리고 자원봉사부문(voluntary sector)의 재평가를 강조.

근로연계복지(workfare) ; 복지급여를 받기 위한 전제 조건으로 수급자에게 노동 의무를 부과하는 제도. 아무� 제동 장치가 없는 공공부조 프로그램이 수급자의 빈곤을 고착화시킨다는 비판이 강해지면서, 미국을 중심으로 복지급여와 근로 의무를 연계하는 제도가 나오게 된 것이다. 우리나라의 국민기초생활보장법에서의 자활급여가 이에 해당된다. 자활급여는 기초생활보장 수급자 가운데 근로능력이 있는 사람들에게 자활 사업에 참여할 것을 조건으로 제공하는 공공부조이다.

유형

자활급여의 종류

자활 사업 시행 기관

비취업

대상자

자활공동체 사업

자활후견기관

자활 근로

업그레이드형

자활수견기관, 민간 위탁기관

취로형

시, 군, 구 등

지역봉사

자원봉사센터, 사회복지관, 시·군·구 등

재활프로그램

정신보건센터 등 정신보건시설

생업자금 융자

시, 군, 구 등

취업대상자

취업 알선, 직업 훈련 등

고용안정센터, 직업훈련기관 등

조건부 수급자의 유형과 자활 지원 내용

자활공동체 ; 국기법 제 18조에 의거한 사업으로 개별적 창업이 어려운 사람들이 자활후견기관의 지원을 받아 공동체 방식으로 하는 사업이다.

자활근로 ;

(1) 업그레이드형 자활 근로 ; 일반노동시장의 진입이 어려운 수급자들이 보호된 시장에서 자활공동체 설립을 위한 기초능력을 기르도록 도와주는 프로그램으로 간병도우미, 세차, 집수리 등의 일에 주로 참여한다.

(2) 취로형 자활근로 ; 가벼운 노동만이 가능한 수급자들이 근로의욕을 완전히 잃어버리지 않도록 공공서비스 분야에서 일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주로 복지도우미, 환경정비, 쓰레기 분리수거 등의 일이 주어진다.

지역봉사 ; 자활능력이 미약한 수급자들로 하여금 지역사회 도우미, 환경도우미, 복지도우미 등의 역할을 통해 지역사회에 대한 봉사활동에 참여하게 하여 근로의욕을 유지하도록 돕는 프로그램이다. 지역봉사에는 급식도우미, 도시락 배달, 공공시설의 환경관리, 어린이 통학 길 교통지도 등의 활동이 포함된다.

생업 자금 지원 ; 창업을 원하는 개인이나 공동체에 생업 자금을 융자해 주고 자활후견기관 등과 연계하여 기술과 경영지원을 제공하는 프로그램이다.

자활근로사업은 참여자의 자활능력과 사업유형에 따라 근로유지형, 사회적 일자리형, 인턴형, 시장진입형 자활근로사업으로 구분한다.

사회복지관의 운영원칙 ; 사회복지관 운영·설치 규정 제 4조

(1) 지역성의 원칙 ; 지역사회의 특성 및 지역주민의 욕구 파악

(2) 전문성의 원칙 ; 전문 인력에 의한 사업 수행

(3) 책임성의 원칙 ; 사업 수행에 따른 효과성과 효율성 입증 및 책임감

(4) 자율성의 원칙 ; 다양한 복지서비스를 효율적으로 운영하기 위한 자율적 운영

(5) 통합성의 원칙 ; 지역 내 공공 및 민간복지기관과 연계

(6) 자원 활용의 원칙 ; 지역사회 내 인력 및 복지자원 동원

(7) 중립성의 원칙 ; 정치활동, 영리활동, 특정종교 활동 등에 이용되지 않도록 중립성을 유지

사회복지관 조직 유형 ;

종합사회복지관 가형 ; 시설 기준 2,000m2 이상, 전체(384개소,2005년 10월 현재)의 36.2%(139개소)

종합사회복지관 나형 ; 시설 기준 1,000m2 이상 2,000m2 미만, 전체의 52.1%(200개소)

사회복지관(다형) ; 시설 기준 1,000m2 미만, 전체의 11.7%(45개소)

사회복지관 지역모델 ;

농촌형 사회복지관  ; 지역사회 개발사업에 중점을 두는 모델

중소도시형 사회복지관 ; 일부 농촌의 성격도 포함하고 있으면서도 도시성격을 살리는 형태

대도시형 사회복지관 ; 지역적 감정보다는 기능과 이해관계에 따라 주민이 관심이 집중

사회복지관의 사업내용 ; 사회복지사업법 시행규칙

가족복지사업

지역사회보호사업

지역사회 복지를 위한

주민조직 강화 및 교육

주민조직체 형성·운영 ; 주민모임, 주민 동아리 등

지역주민이 주체가 되어 지역문제를 해결하는 사업 ; 환경운동, 소비자고발운동, 쓰레기재활용운동 등

주님의식교육 ; 주민지도자 교육, 사회복지교육, 환경교육, 소비자교육 등

복지 네트워크 구축

네트워크 구축 ; 지역사회복지협의체 활동, 지역 내 복지시설과의 연계사업 등

지역복지 중심기관 역할 ; 지역복지 대변자로서의 활동, 지역문제의 발굴 등

주민복지 증진사업

지역행사 ; 경로잔치, 절기행사, 마을 잔치 등 지역주민행사

시설개방 ; 시설대여, 경로당 운영, 주민사랑방 운영

정보제공 ; 일상생활 및 복지관련 정보제공

자원봉사자 양성 및

후원자 발굴

자원봉사자가 희망하는 복지사업분야에서 활동할 수 있도록 연계·관리

정기적 또는 비정기적으로 제공하는 후원금품을 노인, 장애인, 청소년 등 취약계층에게 직접 전달하거나 관련 복지사업비 등으로 사용

지역사회조직사업 ;

교육·문화사업

자활사업

재가복지 도입배경 ;

탈시설화(deinstitutionalization) ; 익숙한 환경과 관계로부터의 단절, 모멸적인 입소 절차, 엄격한 규칙에 대한 복종, 자기 결정권 상실 등의 부정적인 결과를 낳는 시설보호(institutional care or residential care)의 문제점과 한계에 대한 반성으로 등장.

정상화(normalization) 철학 ; 장애인과 비장애인의 사회통합을 강력히 주장. 사회권이나 시민권 보장과 같은 사회 최고의 가치에 바탕을 두면서, 장애인들이 가능한 한 사회의 일상적 삶과 규범에 가까운 생활환경과 방식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점을 강조. 일반 이웃과 함께 하는 일상적인 가정에서의 삶과 지역사회에 통합된 삶을 강조하면서 중앙 집중적인 시설보호에 반대.

재가복지의 기본 원칙 ;

적극성 ; 서비스 대상자의 요청을 기다리자 않고, 적극적으로 서비스 요구를 발굴하여 필요한 서비스를 제공.

능률성 ; 최소의 비용으로 최대의 효과를 거두기 위해 인적·물적 자원을 효율적으로 운영한다.

연계성 ; 다양한 서비스 욕구를 적절히 충족시키기 위해 행정기관, 자원봉사단체 등 각종 관련 기관과 수시 연계체제를 갖추고 알선, 의뢰, 자원봉사 등을 수행한다.

자립성 ; 요보호 대상자에 대한 서비스는 본인의 신체적·정신적·사회적 자립과 자활을 조성.

재가복지의 대상자 ; 공공부조 대상자가 전체 서비스 수혜자의 70% 이상이 되도록 선정기준을 정하고 있다.

국민기초생활보장 수급자

기타 저소득층 가정으로서 재가복지서비스가 필요하다고 인정되는 사람(무의탁 국가 유공자와 유족 등)

미인가 시설의 수용자(장애인, 부녀, 아동, 노인 등)

재가복지서비스를 원하는 지역주민

재가복지의 3대 핵심사업 ;

주간보호사업(day care center), 단기보호사업(short stay service), 가정봉사원 파견사업

재가복지 프로그램 ; 가사서비스, 간병서비스, 정서적 서비스, 결연서비스, 의료서비스, 자립지원서비스, 주민교육서비스, 기타 사회복지관 내 시설을 활용한 서비스.

재가복지봉사센터의 역할 ; 조사·진단 역할, 서비스 제공 역할, 지역사회 자원동원 및 활용 역할, 사업평가 역할, 교육기관 역할, 지역사호 연대의식 고취 역할.

사회복지협의회 ; 지역 내 각종 사회복지지관과 주민의 연합체로서 지역사회의 복지욕구를 대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사회복지기관협의회 ; 사회복지기관이나 사회복지를 전담하는 위원회나 부서를 가진 여타의 단체들로 구성되어 있으며, 기관의 이해관계를 우선적으로 반영한다.

전문협의회 ; 특정분야(가령 정신보건, 장애인, 아동 등)에 종사하는 기관과 전문 인력의 협의회

지역사회복지협의회 ; 전문 혹은 비전문 개인회원과 사회복지기관을 대표하는 단체회원들로 구성되어 있다.

사회복지협의회의 역할

사실 조사와 연구 ;

사회복지기관의 업무와 재정 상태에 관한 각종 통계 자료와 기타 사회복지 기초 자료의 수집

지역사회의 당면 문제에 대한 장기적인 연구

사회복지에 관한 특별 연구나 조사활동

다른 연구 기관과의 공동 연구 수행

사회복지기관 사이의 조정과 협력 증진

지역사회복지 중추로서의 역할

공통의 복지 업무 수행

사회복지기관 업무의 질적 수준 제고

지역사회복지 계획 수립과 실행

정보 제공, 교육, 홍보

사회복지 재원 확보를 위한 노력

사회행동 ; 협의회는 사회행동에 앞장을 선다. 사회적으로 중요한 쟁점에 대해 협의회의 입장을 밝히거나 입법에 관한 대안을 제시하기도 한다. 때로는 특정 계층이나 집단을 위한 옹호활동을 펼치는 경우도 있다. 다른 조직과 연대해 시위나 집회를 하는 경우도 물론 있다.

사회복지협의회의 원칙 ;

주민욕구 기본의 원칙

주민활동 주체의 원칙

민간성 원칙 ; 민간조직으로서 특성을 살려서 주민 욕구, 지역의 복지과제에 대응하는 개척성, 즉응성, 유연성을 발휘한 활동을 수행해야 한다.

공사협동 원칙

전문성 원칙

사회복지협의회와 재정문제 ; 현재 사회복지협의회의 운영비는 지방자치단체의 보조금, 공동모금회의 지원금, 회비, 후원금, 수익사업비 등으로 운영되고 있다.

한국사회복지협의회의 문제점 ;

회원 구성 ; 사회복지시설장 위주의 회원구성

지역협의회 활성화 문제 ; 중앙·공역 자치단체는 활발하게 활동하고 있는데 반해 시·군·구 수준의 이역협의회에서의 활동은 협소한 편이다.

정부와의 관계 ; 재정을 정부지원에 상당히 의존하고 있기 때문에 지나치게 정부와의 종속관계에 있다.

기능과 역할 ; 연구조사 기관 간 조정, 사회복지 홍보 등 간접서비스의 미약성

자체예산의 빈약성


9. 지역사회복지실천의 추진체계와 자원환경 Ⅱ

(지역공동모금회·지역자원봉사센터·지역사회 시민운동연합·자활후견기관)

공동모금의 특성 ;

주민운동

지역운동

자원동원의 효율성

투명성

공동모금의 기능 ; 민간복지 재원의 조성, 지역사회 연대성 제고, 사회복지에 관한 인식 확산 등

공동모금의 원칙 ; 자발성, 공정성, 효율성

일본 공동모금회가 제시한 원칙 ; 민간 주도, 지역성, 계획성, 공개성, 참여성

공동모금회의 조직 유형

1) 연맹형과 중앙 집중형

2) 자율형과 정부 주도형

3) 사회복지협의회와의 관계

사회복지협의회 주도형 ; 모금과 배분 과정에서 사업의 효과성을 높일 수 있는 반면, 모금 능력이 떨어진다.

상호협조형 ; 시너지 효과를 거둘 수 있는지만 지속되기 위해서는 두 조직의 상호신뢰와 존중이 선행되어야 한다.

공동모금회 주도형 ; 조직과 인력이 비대해 지고 비용이 많이 들어간다는 단점이 있지만, 자체 조직으로 보든 활동을 수행하기 때문에 일관성과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는 장점도 지닌다.

모금방법 ;

개별형 ; 개인을 대상으로 하는 모금, 나눔의 정신을 널리 퍼뜨리는 데 효과적, 주민들의 자발적 참여를 촉진한다. 그러나 개인에게 접근하여 모금의 필요성을 인식시키기까지 많은 시간과 인력이 들어가며, 노력에 비해 상대적으로 모금의 성과가 크지 않다는 한계도 있다.

기업형 ; 기업과 종업원을 대상으로 모금. 적은 노력과 시간으로 한꺼번에 비교적 많은 돈을 거둘 수 있다.

payroll deduction ; 기업 종업원들의 급여 가운데 일정액을 공제하는 방법

특별사업형 ; 특별한 프로그램이나 이벤트(가령 걷기대회, 축제, 바자회 등)를 통해 모금. 안정성과 지속성이 없다.

배분방법 ;

기관배분형 ; 사회복지시설이나 기관을 대상으로 모금액을 배분하는 방법.

프로그램 배분형 ; 지역사회가 당면한 특정한 문제(주제)와 프로그램을 배분의 대상으로 삼는다.

혼합형 ; 위의 두 가지가 혼합된 방식

배분기준 ; 공동모금회 정관에 따르면 배분은 지회를 통해 배분하도록 되어 있다.

모금회는 공동모금 재원의 배분을 통해 지역사회 복지 증진과 사회복지 서비스의 활성화를 기하여야 한다.

배분은 사회복지사업과 사회복지활동 그리고 사회복지 프로그램을 행하는 자를 넓게 포괄하여야 한다.

배분은 지역, 단체, 대상자, 프로그램별 복지 수요가 공정하게 충족되도록 하여야 한다.

배분은 과정과 결과가 투명하게 진행되어야 한다.

 배분은 평가를 바탕으로 하여 효과적이며 효율적으로 실시되어야 한다.

배분 기준

신청 자격 ;

사회복지법인, 비영리법인, 단체 또는 개인이 운영하는 사회복지시설

사회복지사업을 행하는 민간 비영리법인과 단체

미신고 사회복지사업을 행하거나 시설을 운영하는 개인

사업 분야

전국 사업 ; 3개 시·도 이상을 대상으로 수행하는 사회복지사업 또는 활동

지역사업 ; 지역 단위의 사회복지사업과 활동

배분 한도

전국 사업의 경우 1억원, 지역사업의 경우 1,500만원 이내

인건비는 신청 금액의 20% 이내로 제한

사업 수행자는 총사업비의 20% 이상을 부담해야 함

공동모금회의 과제

국가복지와 민간복지의 관계 정립

시민 참여의 확대

모금활동

언론사에 너무 의존한다.

연말에 집중된다.

배분활동

전국적인 배분원칙과 기준이 구체적이고 분명하게 마련되어 있지 않다

사회복지프로그램에 대한 지원이 일정 수준을 유지하도록 노력해야 한다.

배분 결과에 대한 적절한 평가 체계가 아직 미비하다

사회복지기관의 운영비 지원이 재검토 되어야 한다. 기관의 욕구와 필요를 원천적으로 제외하면 궁극적으로 CT에 대한 서비스의 질도 낮아질 수 있다.

사각지대에 대한 지원에 더 많은 관심을 가져야 한다. 예를 들어, 저소득층 자녀의 방과 후 프로그램, 성매매여성과 미혼모 지원사업, 장애 어린이 통합교육사업 등

우리나라의 공동모금 배분방법 ;

배분 기준을 매년 5월 31일까지 공고한다.

배분신청을 미리 받아놓고 이것을 토대로 모금 목표액을 정한다.

사업수행자는 총 사업비의 20% 이상을 부담해야 한다.

시민대표들에 의한 공정한 상의와 절차를 통해 배분을 결정한다.

자원봉사의 특징 ;

자발성과 자주성 ; 자원봉사는 개인의 자유 의지에 따라 이루어지는 활동이다. 아무리 좋은 일이라도 다른 사람에 의해 강요된다면 자원봉사의 의의는 사라진다.

공익성과 이타성 ; 자원봉사활동은 이기주의와 상업적 이해관계에 매몰된 현대사회에서 다른 사람에 대한 봉사를 통해 인간 본연의 모습을 찾으려는 활동이다. 또한 자원봉사는 이웃과의 공존을 바탕으로 공동체의 번영을 꾀한다.

무보수성 ; 자원봉사는 무보수를 특징으로 한다. 이 무보수의 원칙은 자발성, 공익성, 이타성을 뒷받침하는 특징이다.

자원봉사자의 욕구 ;

경험추구의 욕구 ; 실제적인 이득 및 자아성장

사회적 책임감 표현욕구 ; 이타적 동이

타인기대 부응욕구 ; 의미 있는 주위 사람들의 압력이나 영향

사회적 인정욕구 ; 사회의 존경

사회적 접촉욕구 ; 친교 및 사교 경험

사회적 교환욕구 ; 미래의 보상에 대한 욕구

성취욕구 ; 개인적 성취

자원봉사자 훈련·교육의 5단계 ;만남과 인식 단계 ⇨ 상호간의 관심 관계 ⇨ 문제발견 및 협의단계 ⇨ 문제해결을 위한 계획·실천 단계 ⇨평가 및 발전단계

자원봉사자 훈련 ;

사전훈련 ; 업무를 시작하기 전 기관의 목적, CT에 대한 이해 등을 습득

준비훈련 ; 특정업무에 대한 이해

현직훈련 ; 현직에서 업무에 필요한 지식 및 기술 증진

계속훈련 ; 각 개인의 최대한의 잠재력 개발

자원봉사센터의 기능 ; 수급조절, 기록·등록, 자원봉사활동의 지원, 양성·연수, 홍보·계발, 네트워크화, 조사·연구.


10. 지역사회복지계획 및 주민참여

(지역사회복지계획·주민참여·지역사회운동·지역사회교육운동)

지역사회복지계획의 개념 ;

지역사회계획과 동일한 개념

사회복지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계획

우리나라에서 입법화된 지역복지계획은 민간단체가 배제된 기초자치단체의 계획안

지역사회복지계획의 작성과 시행은 지역간의 정보교류를 촉진, 지역 간 사회복지 격차 축소에 이바지한다.

지역사회복지계획의 필요성 ;

지역사회복지의 제도화 ; 지역에 필수적인 사회복지가 제도적으로 정착될 수 있음

지역사회복지서비스의 안정적 공급

지역사회복지서비스 공급주체의 다원화 ; 지역사회의 다양한 복지욕구의 해결을 위해 기존의 사회복지기관이나 복지단체뿐 아니라 자원봉사, 시민단체, 전문가단체 등도 가능함.

사회자원의 조달과 적정 배분 ; 다양한 물적, 인적 자원을 개발하고 조달, 배분하는 방안 제시

지역복지계획이 추구해야 할 목표 ;

지역복지추진체계의 확립

지역의 조직화 및 참여

보건·의료·복지의 연계

재가복지와 시설복지의 통합

생활환경의 정비 등

지역사회복지계획의 수립·시행 절차 ;

시장·군수·구청장 ⇨ (지역사회복지협의회) ⇨ 시·도지사 ⇨ (사회복지위원회) ⇨ 보건복지부 장관.

지역사회복지계획의 내용 ; 사회복지사업법 제 15조 4

복지수요의 측정 및 전망에 관한 사항

사회복지시설 및 재가복지에 대한 장·단기 공급대책에 관한 사항

인력·조직 및 재정 등 복지자원의 조달 및 관리에 관한 사항

사회복지서비스 및 보건의료서비스의 연계제공방안에 관한 사항

지역사회복지에 관련된 통계의 수집 및 정리에 관한 사항

그 밖에 대통령령이 정하는 사항

지역복지계획의 범위에서의 구성요소 ;

재택복지에 필요한 시설개선 및 지역의 사회복지시설 개선

어떤 사업을 전개할 것인가에 대한 내용으로 사업, 제도계획

공·사 협동 아래서 어떠한 기구로서 운영되는지 기구 조직에 관한 계획

어떤 단계로 어떻게 해서 주민참가를 촉진할 것인가 등 협동의 과제에 관한 계획

재정적 뒷받침을 어떻게 할 것인가에 관한 재정계획

Glass의 주민참여의 5 가지 일반목표 ;

정보교환(information exchange) ; 의사결정자와 주민의 서로의 생각과 관심사항을 공유하는 것

교육(education) ; 주민들에게 정책이나 계획이 결정되는 과정을 알리는 것

지지구축(support building) ; 주민과 정부의 갈등을 해소하기 위한 활동

의사결정보완(decision-making supplement) ; 의사결정과정에 주민을 참여시키는 것

대표적 투입(representational input) ; 특정문제에 대해 전체 지역사회의 견해들을 확인하는 노력

Arnstein이 제시한 주민참여의 8단계 ;

조작(manipulation) ⇨ 치료(therapy) ⇨ 정보제공(informing) ⇨ 상담(consultation) ⇨ 회유(placation) ⇨ 협동관계(partnership) ⇨ 권한위임(delegated power) ⇨ 주민통제(citizen control)

Arstein의 참여의 효과 측면의 단계 구분 ;

1단계 - 비참여(non-participation) ; 조작, 치료

2단계 - 형식적 참여(degree of tokenism) ; 정보제공, 상담, 회유

3단계 - 주민권력(degree of citizen power) ; 협동관계, 권한위임, 주민통제

주민참여의 방법 ;

일반적인 방법 ;

전시회 ; 계획안이나 정책안에 대해 단순하고 도식적으로 제시함으로써 주민과 교신하기 위한 수단으로 많이 사용되는 방법.

공청회 ; 모든 주민을 대상으로 공개 초청하여 진행하는 방법과 대중주민을 제한하여 운영하는 방법 등이 있다.

설문조사 ; 계획된 자료의 수집방법으로서 조사는 현상의 기술과 예측 그리고 변수간의 관계분석과 의사결정에 도움을 주는 데 있다.

대중매체 ; 매스 미디어를 통해 각종 정책과 계획에 대해 주민과 대화 또는 홍보하는 방법

보다 효과적인 방법 ; 평균 이상의 지적 수준을 갖춘 참여자의 유의적인 선택이 요구된다.

delphi 방법 ; 다양한 전문가집단의 지식과 능력을 결함하여 정책과 계획의 내용에 반영하기 위해 설문조사를 하여 익명성을 보장하고 통제된 피드백 방식을 활용하는 방법이라 할 수 있으며, 문제의 확인, 목표와 우선순위의 결정 그리고 대한의 확인평가에 유용하다.

전문가 선정 ⇨ 주요 관심사에 대한 설문지 작성 ⇨ 설문지 우송 ⇨ 회수된 설문분석 ⇨ 1차 분석결과 합의도가 낮을 경우 분석결과의 자료를 응답자에 재우송하여 1차분석의 결과를 참조한 의견을 묻는다. ⇨ 회수된 응답에 대한 재분석 ⇨ 합의점에 도달할 때까지 반복응답 등과 같은 단계적인 절차에 의해 이루어진다.

명목집단 방법 ; 전통적인 집단회합이 상대방의 의견에 의해 직·간접적인 영향을 받기 때문에 충분하게 자신의 견해를 피력할 기회를 갖지 못하고 있다는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개인은 타인 앞에서 행공을 하되 상호작용은 이루어지지 않는 상황을 조성하여 해결해야 할 문제에 대해 개별적으로 해결방안을 나열하고 이를 우선순위, 중요성에 따라 등급화 하여 정리·제시하는 방법이다.

샤레트 방법 ; 지역주민과 관료, 정치가들이 함께 모여 서로 배우는 비공식적 분위기를 조상하여 지역사회에서 느끼고 있는 문제점들과 관료 또는 정치가들이 인지하고 있는 문제의 시각을 개진하여 상호이해를 통해 일정 시간 내에 합의된 제안을 작성하는 방법이며 준비, 발견, 통합, 제안 작성의 단계로 진행된다.

지역사회학교운동 ; 지역사회 내에 있는 학교들이 중심이 되어 지역사회 주민들의 공동체의식 함양 및 복지 증진을 위한 운동.

지역사회운동의 기본 성격 ;

상호협력운동 ; 지역주민들이 학교를 보다 나은 교육의 터전으로 가꾸고 학교는 지역사회를 보다 살기 좋은 생활의 터전으로 만드는 데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상호협력운동이다.

사회교육운동 ; 지역주민이 필요를 충족시키고 생활을 향상시키기 위해 그들의 잠재력을 최대한으로 개발하는 것

사회개발운동 ; 지역사회가 당면하고 있는 여러 문제를 해결하려는 주민들의 자조적 노력을 돕는 것

새이웃형성운동 ; 지역주민들의 공동체 의식을 강화시켜 주는 것

학교개방운동 ; 학교가 가지고 있는 교육적 자원과 역량을 모든 지역 주민을 위해서 최대한으로 활용한다.

애국실천운동 ; 지역주민들이 가까운 일상생활의 실천을 통하여 이웃사랑을 나라사랑으로 바꾸어 놓는 것

지역사회교육운동의 목적 ;

지역주민의 성장과 발전

가정의 성장과 발전

학교의 성장과 발전

지역사회의 성장과 발전

지역사회운동의 특성 ;

자본주의의 축적과정을 배경으로 하고 있다.

국가의 역할을 배경으로 한다.

사회적 불평등한 자원배분과 연계된다.

구    분

사회복지운동

분석시각

방법론

실용주의적·이념지향적이 혼재

분석의 초점

동원과 가치지향

분석의 단위

지역사회주민. 조직

운동의 특성

주체

지역사회주민, CT, 전문가

계층적 기반의 범위

포괄적

이슈의 특성

이슈의 다양성(사회복지문제)

가치지향성

시민사회의 영역확장

행위의 특성

표출적 행위. 기치지향적 행위

정부와의 관계

작위요구적. 작위저지적

내적구조

조직·관계망 중시

사회복지운동의 분석시각과 특성

지역사회학교 유형 ;

지역사회 학교형 ; 지역사회학교교육운동 이념에 뜻을 같이하는 학교 및 단체로 구성, 교육, 취미, 봉사, 공동체 형성 프로그램 진행

지역사회 협의회형 ; 지역사회학교 활동을 돕기 위한 협의회 구성, 지도자교육, 자료제작 보급, 정보교환 프로그램 진행.

지역주민조직 중심형 ; 지역사회교육봉사회, 평생교우회 등 자원봉사자들을 활용하여 구성. 전문강사활동, 봉사활동 프로그램  진행.


11. 지역사회복지 프로그램과 평가

지역사회사정의 유형 ;

① 포괄적 사정. ② 문제중심 사정. ③ 하위체계 사정. ④ 자원사정. ⑤ 협력사정(collaborative assessment)

지역사회의 욕구사정 ; 지역사회 주민들이 필요로 하는 서비스를 결정하기 위해 수정되는 과정으로서 지역사회의 문제를 확인하고 문제의 원인을 조사 분석하는 과정이다.

보통 지역사회의 어떤 집단에 초점을 두며 시작

욕구와 자원의 분배에 관한 사실에 대해 알고자 하는 요구로 욕구조사 발생

지리적, 작업위치적, 공동체적 지역사회 욕구 중 보통 이 중 한 가지에 초점을 맞춤

프로그램 계획 및 실제를 위해 선행되는 연구로써 욕구사정과 상호 작용해야 함

욕구사정 이해당사자 ; 계획되고 평가되는 프로그램이나 서비스의 영향을 받게 되는 사람으로 프로그램 및 재원의 결정자, 서비스제공자, 서비스수혜자, 프로그램수행 지역사회, 사회과학연구단체들이 모두 포함될 수 있다.

욕구사정을 위한 자료수집 방법 ;

질적 조사방법 ; 문제와 상황에 관한 깊이 있는 정보의 개발에 중점을 둠

비공식·공식 인터뷰

민속학적 방법

지역사회포럼

대화기법

명목집단 기법 ; 지역사회 구성원들에게 영향을 미치는 문제나 이슈에 관해 목록을 작성하고 문제의 우선순위를 정하는 방식

초점집단 기법 ; 지역사회집단의 이해관계를 잘 대표하는 대표자의 인터뷰를 통한 조사방법

델파이 기법 ; 전문가 중심이 주요 정보제공자들을 활용하는 방법. 동의가 이루어질 때까지 ‘환류’의 방식을 사용한다는 데에서 초점집단기법과 차이를 가짐

양적 조사방법 ; 사회적 상황과 문제에 대한 수적인 지표를 개발하는 데 중점을 둠

구조화된 서베이

프로그램 모니터링

사회지표분석

지역사회 집단 접근

욕구사정에서 강조되는 기본 측면 ;

영향을 받는 이들에 대한 개입이 욕구사정의 핵심 원리이다.

한 방법을 통해 발생하는 오류는 다른 방법을 통해 보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술적인 요소와 정치적인 요소 간의 균형이 중요하다.

사정의 필수요소와 실행의 필수요소 간의 균형이 지켜져야 한다.

지역사회 욕구를 통해 프로그램을 계획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프로그램 개발 과정 시 고려사항 ;

가치 ; 프로그램 관여자들에 대한 가치의 반영 여부는?

실현 가능성 ; 프로그램 실행에 따른 정치적, 경제적 동원 여부는?

준비성 ; 프로그램 주관기관 또는 조직의 진행 준비 여부는?

합리성 ; 프로그램의 개관적 사실에 의한 준비 여부는?

지역사회 프로그램 설계 과정 ; 시회문제 분석 ⇨ 대상자 선정 ⇨ 목표 설정 ⇨ 서비스 절차 구체화 ⇨ CT에게 혜택을 제공하는 데 필요한 주요 인물 확인 ⇨ 원조 환경을 구체화하기

지역사회 프로그램 설계과정에서의 대상 집단 ;

일반 집단 ; 문제 범위 또는 행정구역 안에 있는 모든 사람들을 포함한다.

위기 집단 ; 어떤 사회문제에 대해 특히 취약한 하위집단. 위험상태에 있는 대상에 대한 설명은 전형적으로 가장 취약한 사람들의 특성이 있는 사람들의 수를 어림한다.

표적 집단 ; 목표 대상이며, 프로그램에 자격이 되는 위험대상의 부분집합이다.

CT 집단 ; CT가 될 표적대상의 하위집단. 프로그램자격이 되는 사람들 중 실제로 서비스를 받는 것은 소수다.

지역사회 프로그램 설계에서 목표 설정을 위한 기준 ;

목표는 반드시 사회문제 분석과 연결되어 있어야 한다.

목표는 결과 지향적이어야 한다.

목표는 실현 가능해야 한다.

목표는 명확하게 설정되어야 한다.

목표는 CT 대상을 언급하고 있어야 한다.

목표는 정확해야 한다.

목표는 긍정적이어야 한다.

프로그램의 세부목표 ; 효과지향적이어야 한다. 명확하고 긍정적이며 현실적이어야 한다. 단일 기준을 설정해야 한다. 측정이 가능해야 한다. 시간의 한계가 있어야 한다.

프로그램 평가의 정의 ;

한 기관의 전체 또는 선별된 프로그램의 효율, 효과 및 적절성을 철저하게 검토하는 것이다.

평가란 어떤 것에 대한 심판이며, 장점·유용성·가치 등을 결정하는 과정이다.

프로그램의 총체적인 측면이나 결과보다는 프로그램의 형성이나 과정을 강조한다.

프로그램이 의도한 결과를 달성하고 측정 가능한 영향을 사정하는 것이다.

프로그램 평가의 동향 ;

과학적이고 객관적이며 측정적인 접근방법에서 평가의 과정 또는 참여에 중점을 두는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다.

평가의 주된 관심사를 ‘프로그램’에 국한시키지 않고 프로그램의 대상이 되는 인적 요소와 제반 욕구 및 환경을 강조하는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다.

전문가에게 의존하던 기술적인 평가방법에서 참여적인 접근방법과 평가의 과정에 가치를 부여하는 차원으로 나아가고 있다.

한 번으로 끝나는 일회성 평가가 아닌 지속적인 활동으로서의 평가로 나아가고 있다.

외부의 기술자원에 의한 평가에서 기관 자체평가의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다.

프로그램 평가 모델 ;

선제적 평가 ; 프로그램 설게 이전에 수행되는 평가

설명적 평가 ; 프로그램 또는 정책의 내적 구조화 기능을 설명하는 평가

상호작용적 평가 ; 프로그램 전달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평가

모니터링 평가 ; 프로그램이 본 궤도에 올라 있어 지속적으로 수행되는 경우에 사용하는 평가

영향 평가 ; 프로그램의 영향을 사정하기 위해 수행되는 평가

평가의 유형 ;

총괄평가 ; 프로그램 투입에 대한 총체적인 판단을 내리기 위하여 행해지는 평가. 목표로 했던 사업 효과의 양적·질적 평가. 사후적 평가

형성평가 ; 프로그램의 원활하고 성공적인 수행을 위해서 문제점을 찾아내어 수정·보완할 목적으로 실시되는 평가. 사업효과의 경로 확인, 사업효과가 발생하지 않을 때 문제되는 경로 확인, 좀 더 강한 효과의 경로 탐색, 운영계획의 실현 여부 탐색, 계획된 양적, 질적 자원의 적절한 투입 여부, 대상 집단의 적중성, 법규와 규정에의 순응성.

평가의 기본원리 ;

평가도 서비스다. 평가는 재판하는 것이 아니다.

평가자와 피평가자 측의 상호작용의 성격을 띤다.

평가 주체와 피평가자 사이는 동등한 협력 관계이다.

기관평가는 기관 전체의 질을 다차원적으로 평가할 수 있어야 한다.

평가의 원칙 ;

사회복지관의 건실한 육성과 발전의 원칙

책임성과 전문성 고양의 원칙

지역특성과 자율성 보장의 원칙

체질개선을 위한 기회제공의 원칙

공정하고 객관적인 외부평가의 원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