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령의정보담기302

강원국의 글쓰기 비법 (강연들음) 20231026.흐림 강원국 글쓰기의 비법) 1. 글쓰기의 낯설음을 없애려면 습관을 만들어라 예) 모닝커피, 산책,안경닦기 등 2. 글쓰기를 익히려면:어휘력 문장력 구성력을 키워라 (1.어휘력 쓸 때:네이버 국어사전에서 비슷한 단어, 유의어, 사용 문구사용. 2.문장력 기를 때:한 작가의 장편을 읽어라. 한가지 책을 열 번 이상 읽기. 좋아하는 칼럼리스트를 세번 이상 읽어도 되고, 고등학교 국어교과서를 베껴쓰기. 또는 필사하기 책을 사서 필사하기, 시를 열 편이상 외우기.==>문장의 형식을 알게 된다. 수사법을 익힌다. 이국종[골든아워1.2], 김훈[라면을 끓이며]를 읽어라. 3.구성력을 키워라:강준만교수[인문학은 언어에서 태어났다]를 따라해라===>과거현재미래, 주장 근거 사례 결론, 현상진단 해법, .. 2023. 10. 27.
김유정에 대하여 김유정에 대하여) 말더듬이 멱서리에서 한국문학의 대작가로 김유정은 1908년 2월 12일(음력 1월 11일) 강원도 춘천 실레마을에서 태어났다. 팔남매 중 일곱째로 태어났으나 어려서부터 몸이 허약하고 자주 횟배를 앓았다. 또한 말더듬이어서 휘문고보 2학년 때 눌언교정소에서 고치긴 했으나 늘 그 일로 과묵했다. 휘문고보를 거쳐 연희전문학교에 입학했으나 결석 때문에 제적처분을 받았다. 그때 김유정은 당대 명창 박녹주에게 열렬히 구애했으나 뜻을 이루지 못하고 귀향하여 야학운동을 벌인다. 1933년 다시 서울로 올라간 김유정은 고향의 이야기를 소설로 쓰기 시작한다. 1933년 처음으로 잡지 에 「산골나그네」와 에 「총각과 맹꽁이」를 발표한다. 이어 1935년 소설 「소낙비」가 조선일보 신춘문예 현상모집에 1등 .. 2023. 5. 23.
보자기공예3~4회기 20230512금 3회기 수국, 2단수국,댕기매듭, 모란 20230513토 4회기 장미꽃, 맨드라미, 내가 이름붙인 으아리꽃 2023. 5. 13.
보자기공예 보자기로 예술이 된다. 선물을 주는 이의 마음도, 받는 이의 마음도, 모두 귀하게 여겨진다. 2023. 4. 29.